요한복음 23 - 성경을 겉으로 보지 말고 속으로 보아라 (요 7:1-24)
성경이 우리에게 말씀하는 것은? 종교적 전통이 아닌 하나님의 가르침이며 사람을 굴복시키는 것이 아닌 하나님과의 교제를 회복케 하는 것이다.
-
January 31, 2017
성경이 우리에게 말씀하는 것은? 종교적 전통이 아닌 하나님의 가르침이며 사람을 굴복시키는 것이 아닌 하나님과의 교제를 회복케 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예수를 떠나갈 때에 '영생의 말씀이 주께 있습니다.' 라고 말한 베드로의 고백. 이 고백은 영생을 누리고 있는 것인가, 그렇지 아니한가.
많은 증거가 있다고 하여 구원에 이르는 것이 아니다. 그 증거에 머무르지 아니하고 하나님과의 연합된 삶을 살아야 한다. 증거가 넘쳐나는 이 시대에 참된 믿음을 가진 신자는 누구인가?
예수가 진리임을 입증하는 세 가지 증거: 요한의 증거, 표적, 성경(구약).
우리는 이 증거에 머물 것인가? 아니면 증거를 통해 진리로 나아 갈 것인가.
육체적, 정서적 배고픔은 세상에서 잠시 충족시킬 수 있으나 지속 유지되는 완전한 만족은 이룰 수 없다. 반면, 영적인 배고픔은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서만 해결되며 사도적인 삶을 살아낼 때 결핍없는 절대 평안과 만족의 삶을 지속 누리게 된다. 사도적인 삶이란 예수께서 뿌린 씨를 거두기에 힘쓰는 것이다.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 된 우리는 오늘 어느 밭에서 거두는 자로 살아가고 있는가?
"어디에서 예배하여야 합니까?" 라는 수가성 여인의 질문에 주님은 장소가 아닌 때가 중요하다고 말씀하신다. 그 '때'는 물리적 시간이 아닌 '복음을 성취하는 때'를 말한다. 그 때에 예배자들은 영과 진리로 예배하게 된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참된 예배인, 영과 진리로 예배하는 것은 무엇인가?
-야곱의 우물: 이 시대에도 다양한 야곱의 우물이 실재한다. 만물 아래의 세계에 존재하는 우물을 떠나 우리가 누려야 하는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은 무엇인가?
-6번째 남편: 수가성 사마리아 여인은 진정한 사랑과 평안을 찾고자 6번의 결혼을 통해 남편들을 만났으나, 그녀의 최종 고백은 "나는 남편이 없나이다." 라는 대답이다. 우리는 정서적, 영적 목마름을 어디에서 찾고 있는가?
수가성 여인과의 만남으로 시작된 예수님의 사마리아 전도. 하나님께서 우리를 부르시는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이며, 우리가 하나님께 구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우리가 찾아가 복음을 전해야 할 수가성 여인과 같은 이들은 누구인가?
아들을 통해 세상을 구원하시려는 ‘하늘의 일’에 대한 예수님의 증언. 영생은 무엇이며, 영생을 얻고 심판으로부터 구원받은 자의 삶은 어떠해야 하는가?
'어떻게 사람은 거듭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예수님의 대답과 의미에 대한 말씀. 육신의 신앙과 위로부터 거듭난 생명을 가진 자의 신앙의 차이는 무엇인가?